별점은 영화에 대해 이야기해줄 수 없다

별점을 폐기해야 하는 이유


별점 0개부터 5개까지

영화는 10개 안팎의 점수로 평가된다. 다수의 의견을 평균 낸 별점은 곧 영화를 선택하는 기준이 된다. 0점에 가까운 영화는 그 누구도 보고 싶지 않을 것이다. 다수의 사람이 5점을 준 영화라면, 그래. 괜히 신뢰가 간다. 다른 사람이 좋은 영화라는 데는 이유가 있겠지. 그런 마음으로 영화관에 들어간 우리는 대개 실망한 채로 극장에서 나온다.

없는 영화를 평가할 수도 있다.

별점은 취향을 ‘절대’ 반영하기 때문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잘 만든 영화라 할지라도 보기에 불쾌했거나, 맞지 않는 영화라고 느꼈다면 좋은 점수를 주지 않을 것이다. 반면 영화적으로 만듦새가 좀 부족하다고 할지라도 보기에 즐겁고, 재밌었다면 좋은 점수를 줄 수밖에 없다.

로맨스물을 싫어하는 사람이 아서 힐러의 [러브 스토리(Love Story)]를 높게 평가할 리 없고, 히어로물을 싫어하는 사람이 [어벤져스(Avengers)] 시리즈에 별점 다섯 개를 주기는 힘들 것이다. 대중적인 취향을 가진 영화는 높은 평점을 얻게 될 것이며, 높은 평점을 얻은 영화는 다시 대중적인 영화로 인식된다. 이런 영화들은 결국 사람들을 불러 모으게 된다.

평점의 극단편향

관람객들은 극단적인 정보에 더 가중치를 두는 경향이 있다. 이를 극단편향(extremity bias)이라고 부른다. ‘극단적인 정보가 일반적인 기대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극단적인 정보가 더욱 새롭다고 느끼고, 결국 사람들은 이런 극단적인 정보에 더 많은 가중치를 둔다는 것(Fiske, Susan T, Attention and Weight in Person Perception, 1980.)’이다.

평점을 남기는 이들은 자신의 평점이 더 많은 영향력을 가진 정보로 인식되기를 원한다. 그래서 영화는 별점을 통해 자주 과소평가되고, 자주 과대평가된다. 사회적 이슈를 다룬 영화의 경우에는 이런 경향성이 더욱 도드라진다. 별점 0개, 또 5개. 영화는 오직 이 두 가지 점수로만 평가된다. 영화적 완성도와 무관하게 사회적인 이슈에 동의하느냐, 동의하지 않느냐가 그 영화를 평가하는 잣대가 되기 때문이다.

영화적 만듦새는 애초에 무관한 것이었다

이를테면 [변호인]이 그랬다. 이 영화는 고 노무현 대통령의 생애 중 일부를 다루었다는 이유만으로 극우 세력의 악평에 시달렸으며, 0점과 5점이라는 극단적인 평가 위에 서 있어야 했다. 이 모든 게 영화의 완성도와는 무관하게 일어난 일이다. 허지웅 평론가는 [변호인]을 두고 이렇게 이야기했다.

“[변호인]의 단점은 세상에 일베가 있다는 것이다. [변호인]의 단점은 세상에 여전히 비뚤어진 정의감만으로 모든 걸 재단하며 민폐를 끼치는 열성 노무현 팬덤이 있다는 것이다. 일종의 공모자이자 공생관계인 저들은 [변호인]과 관련해서 역시 아무런 의미 없는 소음만을 양산하며 논쟁의 가치가 없는 논쟁의 장을 세워 진영의 외벽을 쌓는데 골몰할 것이다. 그것을 지켜보는 건 피곤한 노릇이다.” 평점란은 극우세력과 그 반대편에 선 이들의 무가치한 놀이터가 되고 말았다.

[걸캅스]는 어떤가. 이 영화는 영화가 개봉하기 전부터 악의적인 0점 테러와 리뷰 혹평에 시달려야 했다. 불법 촬영물을 촬영하고, 유포하는 이들을 추적하는 여성 경찰이라는 소재가 안티 페미니스트들의 불만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반대로 페미니스트들은 이에 대응해 이 영화에 별 다섯개를 주게 되었다.

[걸캅스]는 영화로서의 평가는 거의 받지 못했다. 만약 페미니즘의 이 사회의 주류 의견이라면 이 영화는 평점 2.5 이상의 평가를 받았을 것이다. 만약에 안티 페미니즘이 이 사회의 주류 의견이라면, 이 영화는 그 이하의 평가를 받게 될 것이다. 영화의 연출과 기획력, 배우들의 연기력 따위는 영화를 평가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사상을 평가하기 위해서만 동원될 뿐이었다.

별점은 영화를 평가하지 못한다

우리가 영화를 평가할 수 있는 바리에이션은 고작 열 개 정도다. 별점은 영화의 그 어떤 것도 거의 드러내지 못한다. 사회적 이슈에서 벗어난 영화라도 그렇다. 위에서 언급했듯, 별점은 취향을 절대 반영하기 때문이다. 평점이 높은 영화, 호평을 많이 받은 영화라면 이는 대중적인 취향을 담은 영화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저 다수가 옳다는 미적지근한 민주주의의 법칙을 성실히 수용한 결과일 뿐.

정성일 평론가는 씨네21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얘기했다. “<하하하>와 <시>가 별점이 똑같으면 도대체 이 사람은 무슨 취향을 가진 사람이야, 라고 의아해집니다. 그건 궁금한 것과 다른 것입니다. <아바타>에 별 넷을 주면 <시민 케인>은 몇 개를 주어야 하는 거지?” (영화비평가는 무엇에 쓰이는가, 씨네21, 2010.08.17)

우리는 별점을 통해 그 영화에 대해 어느 정도 대중적이라는 수준의 정보밖에 얻을 수 없다. 별점은 영화를 평가하지 못한다. 영화를 이야기해주지 못한다. 별점으로부터 이로움을 얻는 건 바쁜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기 위해 애쓰는 영화사 마케팅 담당자 뿐일 것이다. 별점은 폐기되어야 한다. 영화는 더 길고, 더 깊은 문장으로 평가되어야 한다.